(출처) 이 글은 교육부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CE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신문과 뉴스에서 통계를 발표할 때 'OECD회원국 중 몇 위'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OECD가 선진국의 모임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지만 사실 '경제 협력 개발 기구'로 회원국의 경제성장과 금융안정, 개도국을 포함한 세계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이다.
- OECD회원이 되기 위한 기본자격은 다원적 민주주의 국가로서, 시장경제체제를 보유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국가이어야 한다. 즉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 베트남, 러시아는 속하지 않는다.
- 회원국(38개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한민국(1996년 12월 29번째로 가입),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멕시코, 미국, 벨기에,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체코,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튀르키예,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호주
- OECD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각국에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각종 지표들을 매년 발간한다. 이 글에서는 교육지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2022년도 OECD 교육지표
2022년도 발간된 자료이기에 조사기준연도는 교육재정(2019년), 교육 참여·성과 등(2020~2021년)이다.
교사의 급여
기준 연도 |
구분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초임 | 15년차 | 최고호봉 | 초임 | 15년차 | 최고호봉 | 초임 | 15년차 | 최고호봉 | ||
2021년 | 한국 | 34,123 | 60,185 | 95,780 | 34,185 | 60,247 | 95,842 | 34,185 | 60,247 | 95,842 |
(변화) | ▲646 | ▲1,082 | ▲1,672 | ▲646 | ▲1,082 | ▲1,672 | ▲1,385 | ▲1,821 | ▲2,411 | |
OECD 평균 | 36,099 | 49,245 | 59,911 | 37,466 | 51,246 | 62,685 | 39,020 | 53,268 | 64,987 | |
2020년 | 한국 | 33,477 | 59,103 | 94,108 | 33,539 | 59,165 | 94,170 | 32,800 | 58,426 | 93,431 |
OECD 평균 | 34,942 | 48,025 | 58,072 | 36,116 | 49,701 | 60,478 | 37,811 | 51,917 | 63,028 | |
※ 연간 급여(1인 기준) = 봉급 + 수당(정근수당 등 포함, 초과근무수당 등 추가수당 제외) + 복리후생비(명절휴가비 등) + 교원연구비 ※ 사적소비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20년) 974.22원/$ → (2021년) 967.40원/$ ※ 최고호봉까지 일반적 소요기간(퇴직연령 62세 기준) : 한국 37년, OECD 평균 26년 |
교사의 수업 시수
기준 연도 |
구분 | 연간 총 수업 주수 | 연간 총 법정 수업일수 | 연간 교사 1인당 순 수업시간 |
|||||||||
초등 학교 |
중 학교 |
고등 학교 (일반) |
고등 학교 (직업) |
초등 학교 | 중 학교 |
고등 학교 (일반) |
고등 학교 (직업) |
초등 학교 | 중 학교 |
고등 학교 (일반) |
고등 학교 (직업) |
||
2021년 | 한국 | 38 | 38 | 38 | 38 | 190 | 190 | 190 | 190 | 672 | 517 | 544 | 541 |
(변화) | - | - | - | - | - | - | - | - | ▼8 | ▲4 | ▲5 | ▲4 | |
OECD 평균 | 38 | 38 | 37 | 38 | 184 | 183 | 182 | 185 | 784 | 711 | 684 | 684 | |
2020년 | 한국 | 38 | 38 | 38 | 38 | 190 | 190 | 190 | 190 | 680 | 513 | 539 | 537 |
OECD 평균 | 38 | 38 | 38 | 38 | 184 | 184 | 183 | 186 | 791 | 723 | 685 | 691 | |
※ 수업 주수와 수업 일수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5조 제1항에 기초하여 산출 ※ 순 수업시간은 교육통계조사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점심시간과 중간 휴식시간, 공휴일(국경일 및 정규방학) 등을 제외한 정규수업, 특별활동, 재량활동 수업시간 포함(수업준비활동, 생활지도 등은 미포함) 단, OECD 기준상 초등 담임교사에 한해 쉬는시간(10분)을 학생 지도시간으로 간주하여 순 수업시간에 포함 ※ 국제비교를 위해, 수업시간은 수업시수를 시간(60분, 1시간)으로 환산 (예 : 초등학교 수업시간 = { (1시간 수업시수 = 40분) ÷ 60분 } → 1시간 수업시수가 2/3 시간으로 환산됨) |
교육에 대한 투자 및 성과
기준 연도 | 구분 | 초등교육 | 중등교육 | 고등교육 | 초등교육~고등교육 |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
||
2019년 | 한국 | 13,341 | 31.0 | 17,078 | 39.7 | 11,287 | 26.2 | 13,819 | 32.1 |
(변화) | ▲807 | ▲1.5 | ▲2,100 | ▲4.4 | ▼2 | ▼0.3 | ▲905 | ▲1.7 | |
OECD 평균 | 9,923 | 21.8 | 11,400 | 24.4 | 17,559 | 37.3 | 11,990 | 26.0 | |
2018년 | 한국 | 12,535 | 29.5 | 14,978 | 35.3 | 11,290 | 26.6 | 12,914 | 30.4 |
OECD 평균 | 9,550 | 21.3 | 11,192 | 24.7 | 17,065 | 36.9 | 11,680 | 25.8 | |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 (정부재원 + 민간재원 + 해외재원 공교육비) / 재적학생(재학생+휴학생 등) 수 } / PPP* *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18년) 865.72원/$ → (2019년) 864.63원/$ ※ 우리나라 국민 1인당 GDP : (2018년) $42,487 → (2019년) $43,045 ※ 한국의 연도별 GDP : (2018년) 1,898.2조 원 → (2019년) 1,924.5조 원 ※ 동 수치는 반올림한 값임 |
- 2019년 우리나라의 초등교육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OECD 평균보다 높았고 초등교육에서 고등교육까지 들어가는 공교육비도 OECD 평균보다 높았다.
기준연도 | 구분 | 만 25~64세 | 만 25~34세 |
2021년 | 한국 | 51.7 | 69.3 |
(변화) | ▲1.0 | ▼0.5 | |
OECD 평균 | 41.1 | 46.9 | |
2020년 | 한국 | 50.7 | 69.8 |
OECD 평균 | 40.3 | 45.5 | |
※ 고등교육 이수율 : ( 연령대별 고등교육 단계 학력 소지자 수 / 해당 연령대 전체 인구 수 ) x 100 ※ 원자료 출처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
기준연도 | 구분 | 중학교 이하 | 고등학교 (기준) |
전문대학 | 대학 | 대학원(석박사) |
2020년 | 한국 | 78.4 | 100 | 110.2 | 138.3 | 182.3 |
(변화) | ▼0.9 | ▲1.9 | ▲2.0 | ▲0.0 | ||
OECD 평균 | 83.0 | 100 | 120.3 | 143.8 | 187.6 | |
2019년 | 한국 | 79.3 | 100 | 108.3 | 136.3 | 182.3 |
OECD 평균 | 82.4 | 100 | 119.6 | 142.8 | 187.5 | |
※ 고등학교 졸업자 임금=100 기준 ※ 원자료 출처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 2020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고졸자 임금 = 100기준)은 전문대학 졸업자 110.2%, 대학 졸업자 138.3%, 대학원 졸업자 182.3%로, 2019년보다 상대적 임금격차가 증가했다.
- OECD평균과 비교했을 때 교육 단계에 비해 적은 임금을 받고 있다.
요약
- 대학까지 가장 많이 진학하지만 그만큼의 대우를 받지 못 받고 있는 사람들
- 수업 시수는 적지만 많이 벌어가는 교사
임금에 대한 불만이 조금은 사그라드는 통계인 것 같다.. :-)
'교육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로 보는 교육!(2) 다문화가정의 실태 (0) | 2023.01.14 |
---|---|
통계로 보는 교육!(1) 2023~2029년 우리나라 학생 수 예측하기 (0) | 2023.01.13 |
댓글